본문 바로가기
일상 이야기

5월2일 임시공휴일 휴일 근무 수당 받을 수 있나?

by 이건 꿀팁 2025. 4. 8.

5월2일이 쉬는 날로 정해지면 그날 일하는 사람들은 평소보다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언제 얼마나 더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회사가 큰지 작은지에 따라 다른 규칙도 함께 알아봐요!

 

 

목차

  1. 임시공휴일이 뭐예요?
  2. 5월2일은 쉬는 날이 될까요?
  3. 쉬는 날 일하면 돈을 더 받을 수 있어요
  4. 얼마나 더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 볼까요?
  5. 작은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어떨까요?
  6. 다른 날 대신 쉬는 방법
  7. 자주 묻는 질문들

 

임시공휴일이 뭐예요?

📌 핵심 요약

임시공휴일은 원래는 일하는 날인데 정부에서 "이날은 모두 쉬세요"라고 특별히 정한 날이에요. 이날은 회사에 안 가도 평소처럼 돈을 받을 수 있어요.

 

임시공휴일은 우리가 달력에서 빨간 날이 아닌데도 정부에서 특별히 쉬라고 정한 날이에요. 예를 들면, 큰 국가 행사가 있거나 사람들이 여행도 가고 쇼핑도 하게 해서 경제를 더 활발하게 만들고 싶을 때 정해요.

 

임시공휴일과 대체공휴일은 달라요

  • 임시공휴일: 정부가 "이날 추가로 쉬세요"라고 새로 정한 날
  • 대체공휴일: 원래 쉬는 날(예: 설날)이 주말과 겹치면 "그럼 월요일에 쉬세요"라고 하는 것

정부는 보통 연휴가 있을 때 그 사이에 낀 평일을 임시공휴일로 정해서 사람들이 길게 쉴 수 있게 해요. 얼마 전에도 2025년 1월 27일을 설 연휴 때 쉬는 날로 정했어요.

 

 

5월2일은 쉬는 날이 될까요?

📌 핵심 요약

2025년 5월1일은 근로자의 날(목요일), 5월5일은 어린이날(월요일)이에요. 5월2일(금요일)이 쉬는 날로 정해지면 목금토일월 총 5일을 쉴 수 있어요!

 

2025년 5월 달력을 보면:

5월 -달력
2025년 5월 달력

 

 

  • 5월 1일(목): 근로자의 날 - 원래 쉬는 날
  • 5월 2일(금):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임시공휴일이 될 수 있어요
  • 5월 3일(토): 주말
  • 5월 4일(일): 주말
  • 5월 5일(월): 어린이날 - 원래 쉬는 날

만약 5월 2일을 쉬는 날로 정하면, 목요일부터 월요일까지 5일 동안 쭉 쉴 수 있는 '황금연휴'가 생겨요!

 

아직 정부에서 "5월 2일은 쉬는 날입니다"라고 공식적으로 말하지 않았지만, 올해 설날 때도 비슷하게 연휴 중간에 낀 날을 쉬는 날로 정했기 때문에 가능성이 높아요.

 

5월 2일이 쉬는 날로 확정되면, 직원이 5명 이상인 회사는 이날 쉬게 해주고 평소처럼 월급도 줘야 해요. 그리고 만약 이날 꼭 일을 해야 한다면, 평소보다 더 많은 돈을 줘야 한답니다.

 

 

쉬는 날 일하면 돈을 더 받을 수 있어요

📌 핵심 요약

직원이 5명 이상인 회사에서 임시공휴일에 일하면, 평소 받는 돈보다 1.5배에서 2배 더 많이 받을 수 있어요. 얼마나 오래 일했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1. 왜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나요?

쉬는 날에도 일을 하면 특별한 노력을 한 거니까 더 많은 돈을 받는 게 당연하겠죠? 법에서도 그렇게 정했어요. 근로기준법이라는 법의 제56조에 따르면, 회사는 쉬는 날에 일한 사람에게 추가로 돈을 더 줘야 한대요.

2. 얼마나 더 받을 수 있나요?

임시공휴일에 일했을 때 받는 돈은 얼마나 오래 일했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 8시간까지 일했을 때: 평소 받는 돈의 1.5배 (예: 평소에 10만원 받으면 15만원)
  • 8시간보다 더 오래 일했을 때: 8시간 넘는 시간에 대해서는 평소 받는 돈의 2배 (예: 평소에 10만원 받으면 20만원)

그리고 밤 10시부터 아침 6시 사이에 일했다면, 여기에 또 50%를 더 받을 수 있어요. 많이 받는 거죠!

 

 

 

2025 월급 계산기

이번 시간에는 2025 월급 계산기 준비했습니다. 2025년에는 시급이 1만 원을 돌파했는데요. 이에 따른 월급은 얼마나 되는지 아래 월급 계산기를 통해 확인하세요.

www.sinnyeosa.com

 

얼마나 더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 볼까요?

1. 월급 받는 사람의 계산법

월급을 받는 사람은 먼저 "시간당 얼마를 버는지" 계산한 후에 휴일수당을 계산해요.

친구 A의 예시

  • 월급: 280만원
  • 시간당 임금: 13,397원
  • 임시공휴일에 7시간 일했어요.

계산법:

1) 시간당 임금에 일한 시간을 곱해요: 13,397원 × 7시간 = 93,779원
2) 여기에 1.5배를 해요: 93,779원 × 1.5 = 140,669원
3) 결과: 친구 A는 임시공휴일에 일해서 140,669원을 더 받을 수 있어요!

 

친구 B의 예시

  • 월급: 280만원
  • 시간당 임금: 13,397원
  • 임시공휴일에 9시간 일했어요.

계산법:

1) 8시간까지는 1.5배: (13,397원 × 8시간) × 1.5 = 160,764원
2) 8시간 넘는 1시간은 2배: (13,397원 × 1시간) × 2 = 26,794원
3) 둘을 더해요: 160,764원 + 26,794원 = 187,558원
4) 결과: 친구 B는 임시공휴일에 일해서 187,558원을 더 받을 수 있어요!

2. 시급 받는 사람의 계산법

시급(시간당 돈)을 받는 사람은 계산법이 조금 달라요. 왜냐하면 원래 그날 쉬었다면 돈을 못 받잖아요. 그래서 계산할 때 그 부분도 포함해야 해요.

 

친구 C의 예시

  • 시간당 임금: 11,000원
  • 임시공휴일에 6시간 일했어요.

계산법:

1) 원래 받을 돈: 11,000원 × 6시간 = 66,000원
2) 쉬는 날 일한 특별 수당: 66,000원 × 1.5 = 99,000원
3) 둘을 더해요: 66,000원 + 99,000원 = 165,000원
4) 결과: 친구 C는 임시공휴일에 일해서 총 165,000원을 받을 수 있어요!

 

친구 D의 예시

  • 시간당 임금: 11,000원
  • 임시공휴일에 9시간 일했어요.

계산법:

1) 8시간까지:

  • 원래 받을 돈: 11,000원 × 8시간 = 88,000원
  • 특별 수당: 88,000원 × 1.5 = 132,000원
  • 소계: 88,000원 + 132,000원 = 220,000원

2) 8시간 넘는 1시간:

  • 원래 받을 돈: 11,000원 × 1시간 = 11,000원
  • 특별 수당: 11,000원 × 2 = 22,000원
  • 소계: 11,000원 + 22,000원 = 33,000원

3) 둘을 더해요: 220,000원 + 33,000원 = 253,000원
4) 결과: 친구 D는 임시공휴일에 일해서 총 253,000원을 받을 수 있어요!

 

 

 

시급계산기

본 포스팅에서는 시급계산기 이 주제로 작성했습니다. 본인의 시급이 얼마인지 계산하고 싶으시면 아래 계산기를 통해 계산해 보세요.

www.sinnyeosa.com

 

작은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어떨까요?

직원이 5명보다 적은 작은 회사는 임시공휴일에 특별 수당을 줄 의무가 없어요. 하지만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모든 회사가 쉬는 날로 인정해야 해요. 자세히 알아볼게요.

1. 작은 회사도 특별 수당을 줘야 할까요?

현재 법에 따르면, 직원이 5명보다 적은 작은 회사는 임시공휴일을 쉬는 날로 인정하지 않아도 돼요. 그래서 임시공휴일에 일해도 특별 수당을 받지 못할 수 있어요.

 

하지만 회사 규칙이나 일하기로 약속한 계약서에 "임시공휴일도 쉬는 날로 해줄게"라고 적혀 있다면, 그 약속을 지켜야 해요. 이런 경우에는 특별 수당도 받을 수 있어요.

2. 근로자의 날은 모든 회사가 지켜야 해요

작은 회사라도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꼭 쉬는 날로 인정해줘야 해요.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이라는 특별한 법이 있어서 회사 크기와 상관없이 모든 근로자가 쉴 수 있는 날로 정했거든요. 만약 근로자의 날에 일을 한다면, 작은 회사에서도 특별 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다른 날 대신 쉬는 방법

회사에서 "임시공휴일에 일하고 다른 날 쉬세요"라고 할 수 있어요. 이것을 '휴일대체'라고 하는데, 이럴 때는 특별 수당을 받지 못할 수도 있어요. 

1. 휴일대체가 뭐예요?

휴일대체는 원래 쉬는 날(예: 임시공휴일)에 일하고, 대신 다른 평일에 쉬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5월 2일(금) 임시공휴일에 일하고, 대신 5월 9일(금)에 쉬는 거예요.

2. 휴일대체를 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요?

휴일대체를 하려면 두 가지 중요한 조건이 있어요:

  1. 근로자 대표와 서면 약속: 회사가 혼자 결정하는 게 아니라, 직원들을 대표하는 사람과 서류로 약속을 해야 해요.
  2. 미리 알려주기: 직원들에게 "이날 일하고 저날 쉬세요"라고 미리 알려줘야 해요.

3. 휴일대체를 하면 특별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제대로 된 방법으로 휴일대체를 했다면, 임시공휴일은 그냥 평일처럼 되어서 특별 수당을 받지 못해요. 왜냐하면 다른 날 쉬는 것으로 보상을 받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제대로 약속하지 않거나 미리 알려주지 않고 "그냥 일하고 다음에 쉬세요"라고 한다면, 여전히 특별 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어요.

 

 

자주 묻는 질문들

Q: 5월 2일이 쉬는 날로 정해지면 무조건 쉴 수 있나요?

A: 꼭 그렇지는 않아요. 회사 일이 너무 바쁘거나 꼭 해야 하는 일이 있으면 사장님이 "오늘 일해 주세요"라고 부탁할 수 있어요. 하지만 직원이 5명 이상인 회사라면 특별 수당을 줘야 해요.

 

Q: 임시공휴일에 연차(휴가)를 써도 될까요?

A: 임시공휴일은 이미 쉬는 날로 정해졌기 때문에 연차를 쓸 필요가 없어요. 만약 이미 연차를 신청했다면, 그 연차는 취소하고 그냥 임시공휴일로 쉬면 돼요. 연차는 다른 날에 쓸 수 있게 남겨두세요.

 

Q: 임시공휴일이 주말(일요일)과 겹치면 어떻게 되나요?

A: 임시공휴일과 주말이 겹치면 그냥 평소처럼 쉬면 돼요. 특별히 다른 날을 더 쉬게 해주거나 돈을 더 줄 필요는 없어요.

 

Q: 임시공휴일에 집에서 재택근무를 해도 특별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어디서 일하든 상관없어요. 사무실에서 일하든, 집에서 재택근무를 하든, 임시공휴일에 일을 했다면 특별 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중요한 건 '어디서' 일했느냐가 아니라 '쉬는 날에 일을 했느냐'예요.

 

Q: 우리 회사는 직원이 4명인데, 사장님이 임시공휴일을 인정하지 않아요. 이건 괜찮은 거예요?

A: 네,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어요. 직원이 5명보다 적은 회사는 임시공휴일을 쉬는 날로 인정하지 않아도 돼요. 하지만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모든 회사가 쉬는 날로 인정해야 해요.

 

Q: 임시공휴일에 일했는데 회사가 "나중에 다른 날 쉬세요"라고 해요. 돈은 안 주나요?

A: 회사가 근로자 대표와 제대로 약속하고 미리 알려줬다면, 다른 날 쉬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특별 수당을 받지 못할 수 있어요.

 

하지만 회사가 나중에 "보상휴가"라고 해서 쉬게 해준다면, 그건 휴일대체와는 달라요. 보상휴가는 특별 수당 대신 그에 맞는 시간만큼 쉬게 해주는 거예요. 예를 들어, 8시간을 일했다면 12시간(8시간×1.5)에 해당하는 휴가를 줘야 해요.

 

 

글을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5월2일 임시공휴일이 생기면 일할 때 받을 수 있는 특별 수당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어요. 임시공휴일이 공식적으로 정해지면 직원이 5명 이상인 회사에서는 쉬는 날로 인정해야 하고, 이날 일하면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어요.

 

중요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

  • 임시공휴일은 정부가 특별히 정한 쉬는 날이에요.
  • 직원이 5명 이상인 회사에서는 임시공휴일에 일하면 평소보다 1.5~2배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어요.
  • 직원이 5명보다 적은 작은 회사는 임시공휴일에 특별 수당을 주지 않아도 돼요(근로자의 날 제외).
  • 회사가 휴일대체를 제대로 했다면 특별 수당을 받지 못할 수도 있어요.

근로자로서 자신의 권리를 아는 것은 정말 중요해요. 특히 필수 서비스나 매장에서 일하는 분들처럼 쉬는 날에도 일해야 하는 분들은 법에 따라 정당한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어요.

 

회사도 미리 계획을 세워서 직원들과 충분히 이야기하고, 필요하다면 휴일대체 같은 방법을 적법하게 사용하면 비용도 아끼고 일도 잘 돌아가게 할 수 있을 거예요. 항상 서로 이야기를 잘 나누고 이해하면서 모두가 좋은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 참고하세요: 이 글은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드리기 위해 쓴 거예요. 하지만 사람마다 상황이 다를 수 있으니, 확실히 알고 싶다면 노무사(일과 관련된 법률 전문가)나 고용노동부에 물어보는 게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