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1월 중순에 미증권 거래위원회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했는데요. 이번엔 홍콩도 비트코인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을 했는데요. 이는 아시아 최초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현물 ETF승인을 한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볼게요.
1. 홍콩 etf 승인 아시아 최초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현물 ETF승인하다.
24년 4월 16일 아시아에 있는 많은 나라 중에서 홍콩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현물 상장지수펀드 일명 "ETF"를 승인했습니다.
저번 미국 때도 최대 자산 운용사 등에서 승인요청을 해 승인을 받았는데요. 중국 역시 최대 자산운용사인 화샤기금과 자산운용사인 보세라, 펀드운영사인 하비스트, 해시키캐피털의 합작 기관이 홍콩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이 두 개의 코인 현물 ETF를 승인받았습니다.
그래서 중국 거대 자금을 주무르는 회사들도 코인 현물 ETF에 뛰어든다고 하니 지금 가상자산 관련 업계에서 많은 관심이 쏠려 있는 것입니다.
저번 미국에서 승인이 난 후로 며칠간 비트코인 가격이 쭉 빠졌는데요. 그 후로 비트코인 반감기를 들어가기 전초부터 갑자기 급 상승을 하여 최고가를 경신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중동 위기로 비트코인이 9,300만 원 정도대까지 하락을 한 상황입니다.
홍콩 비트코인 이더리움 현물 ETF가 승인이 된 후로 상장까지는 10일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는데요. 만약, 이번 승인을 긍정적으로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중국의 거대 자본이 투입되어 가상 자산을 상승으로 이끌어 갈 것이라 판단이 되지만 반면, 중국 본토의 자금이 홍콩 비트코인 이더리움 현물 ETF로 유입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중국이 작년부터 홍콩에 디지털 자산 테스트 베드 역할을 부여하는 등 블록체인 관련 기술을 장려는 하지만 가상 자산에 투자를 하는 것은 금지를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아직은 실질적으로 상장을 하지 않은 상태라 어느 누구도 명확하게 비트코인 시장에 긍정적인 결과를 줄지는 판단할 수는 없을 건데요.
현시점에서는 중동발 사태 VS 홍콩발 호재 중 누가 승리할지는 지켜봐야 할 거 같습니다. 가상자산에 투자를 한 분이나 투자를 할 계획에 있는 분들이라면 앞으로 중동발 상태를 좀 더 유심히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지금 이슈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교통부, 전세사기 피해지원 대상자 확대 및 지원결과 발표" (0) | 2024.04.18 |
---|---|
"이강인과 김민재, 유럽 무대에서 빛나다: 챔피언스리그 준결승 진출" (0) | 2024.04.18 |
UK pushes for 'cigarette removal law' to ban tobacco purchases for people born after 2009 (0) | 2024.04.18 |
영국, 2009년생부터 담배 구매 금지하는 '담배 퇴출법' 추진 (0) | 2024.04.18 |
비트버니 오늘의 퀴즈 ㄱ ㄹ ㅈ ㅁ 정답은? (0) | 2024.04.18 |